<프로그래머스 | LEVEL 0.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>
머쓱이는 학교에서 키 순으로 줄을 설 때 몇 번째로 서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. 머쓱이네 반 친구들의 키가 담긴 정수 배열 array와 머쓱이의 키 he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
<틀린 코드1>
count=0
def solution(array, height):
for i in array:
print(i)
for j in i:
if j > height:
count+=1
print(height,'보다' , array[i] ,'가 더 큽니다')
elif j <= height:
print(height,'보다' , array[i] ,'가 더 작습니다')
return count
solution(array,height)
나의 생각: 우선 배열에 있는 원소들을 추출해주고, 추출된 원소들을 하나씩 가져와서 비교해야하니까 for 문을 두번 써야겠지?
>> for 문 두 번 쓰지 않고 한번으로 충분했음. 원소들을 가져와서 바로 비교진행할 수 있는 흐
<틀린 코드 2>
count=0
def solution(array, height):
for i in array:
if i > height:
count+=1
return count
solution(array,height)
오류 : UnboundLocalError: local variable 'count' referenced before assignment
나의 생각 : 함수 밖에서 변수를 정의하면 안에서도 쓸 수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?
>> 파이썬의 '읽기' 와 '쓰기' 를 구분했어야 했음
함수는 기본적으로 함수 내의 영역에 대해서 지역 변수 공간 (local scope) 가 있다.
함수 밖에 있는 전역 변수를 읽어올 수는 있지만,
함수 밖에 있는 전역 변수는 변경할 수 없기 떄문에
+= 처럼 변수를 새로 갱신하는 경우에는 변수를 지역 변수로, 즉 함수 안에 써줘야 한다
<틀린 코드3>
array = [149,180,192,170]
height = 167
def solution(array, height):
count=0
for i in array:
if i > height:
count+=1
return count
solution(array,height)
오류 : expected an indented block after function definition on line 5
나의 생각 : count =0 을 함수 안에 써줬는데도 왜 여전히 오류가 발생할까?
>> 변수 정의부터 함수 내부로 인식되기 떄문에 띄어쓰기를 적용했어야 했다
<정답 코드>
array = [149,180,192,170]
height = 167
def solution(array, height):
count=0
for i in array:
if i > height:
count+=1
return count
solution(array,height)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주사위의 개수 (0) | 2025.10.21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배열의 유사도 (0) | 2025.10.21 |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점의 위치 구하기 (0) | 2025.10.20 |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각도기 (0) | 2025.10.16 |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두 수의 나눗셈 (0) | 2025.10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