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 39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주사위의 개수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주사위의 개수 머쓱이는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를 하나 가지고 있는데 이 상자에 정육면체 모양의 주사위를 최대한 많이 채우고 싶습니다. 상자의 가로, 세로, 높이가 저장되어있는 배열 box와 주사위 모서리의 길이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졌을 때, 상자에 들어갈 수 있는 주사위의 최대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def solution(box, n): answer=1 for i in box : each_length=i//n print(each_length) answer*=each_length return answer 틀렸던 이유: 직육면체 안에 최대 몇개의 정육면체가 들어가는..

Python 2025.10.21

[아이티윌 빅데이터 52기] Day 11 Python Basic | 딕셔너리/예외처리/파일 입출력

-딕셔너리의이해-딕셔너리의 활용-예외 처리-파일 입출력-csv 파일 다루기 딕셔너리의 이해딕셔너리는 중괄호 안에 콤마로 구분여러개의 값을 이름 :값의 형태로 나열딕셔너리 값을 호출할때는 " " 로 감싸서 가져와야 함 * #딕셔너리를 정의해보자item={"item_name":"상의 티셔츠", "item_price":"15000", "item_option":"Blue"}print(item)#딕셔너리에서 특정 원소로 접근할 때는 문자열로 작성해줘야한다print(item["item_name"])print(item["item_price"])print(item["item_option"])#딕셔너리 값은 바로 대입형식으로 수정해줄수도 있다item["item_option"]="Red"prin..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배열의 유사도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배열의 유사도두 배열이 얼마나 유사한지 확인해보려고 합니다. 문자열 배열 s1과 s2가 주어질 때 같은 원소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s1 =['a','b','c']s2=['com','b','d','p','c']for sl1 in s1: count=0 if sl1 in s2: count+=1print(count) >> 답이 2가 나와야 이상적인 상황에서 계속 1이 나와서 의아해 했다 틀렸던 이유: count=0 의 위치가 for 문 안에 있었기 때문에, 반복문이 돌 때마다 0으로 리셋되었다. s1 =['a','b','c']s2=['com','b','d','p','c']count=0for s..

Python 2025.10.21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

머쓱이는 학교에서 키 순으로 줄을 설 때 몇 번째로 서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. 머쓱이네 반 친구들의 키가 담긴 정수 배열 array와 머쓱이의 키 he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머쓱이보다 키 큰 사람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. count=0def solution(array, height): for i in array: print(i) for j in i: if j > height: count+=1 print(height,'보다' , array[i] ,'가 더 큽니다') elif j 나의 생각: 우선 배열에 있는 원소들을 추출해주고, 추..

Python 2025.10.20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점의 위치 구하기

x 좌표 (x, y)를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dot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좌표 dot이 사분면 중 어디에 속하는지 1, 2, 3, 4 중 하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def solution(a,b): dot=[a,b] if a>0 and b>0: return 1 elif a0: return 2 elif a0 and b -배열 형태의 데이터를 받아오기 위해서 함수에 인자가 2개 필요한 줄 알았는데, 함수 자체에 1개의 배열이 들어오는 문제였어서 b 가 있으면 오류가 발생했음.-또 조건문에서 비교할 때, 리스트 형식의 데이터를 조회하는 대괄호를 활용해야 했음 def solution(a): if a[..

Python 2025.10.20

[아이티윌 빅데이터 52기] Day 10 Python Basic | 리스트의 탐색

리스트의 탐색for 문 활용1) 리스트의 인덱스 번호를 탐색하는 방법2) 원소 직접 탐색하는 방법3) 둘 다 탐색하는 방법 *리스트 같은 연속성 데이터는 1씩 증가하는 인덱스 번호를 가지니, 이는 반목문 증감식의 특성과 일치하는 규칙임#리스트의 인덱스 번호 기준으로 반복 범위 설정for i in range(0,len(리스트)): print(리스트[i]) #리스트 자체를 탐색하는 for 문for i in 리스트: print(i) #인덱스 번호와 원소값을 모두 취득하는 반복문for i ,v in enumerate(리스트): print(i) print(v) *순서가 중요하면 상단 방법, 순서가 중요하지 않고 그 내부 값 자체가 필요하면 하단 방법*하단 방법은 i 자체가 리스트 안..

[아이티윌 빅데이터 52기] Day 9 Python Basic | 프로그램 흐름 제어 / 리스트 (1)

-프로그램 흐름 제어-리스트의 이해-인덱싱과 슬라이싱-리스트의 원소 복사-리스트의 탐색 프로그램 흐름 제어프로그램에서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중첩되어 쓰이는 등 특정 조건을 더 상세하게 보는 방법들이 있따 if 와 if 의 중첩#점수를 받아서 패스와 불합격을 나누고, 패스일 때의 학점을 세부적으로 분류해보자point=int(input("점수를 입력해주세요!"))if point > 80 : print("합격입니다") if point > 95 : print("학점은 A 입니다") elif point>85: print("학점은 B 입니다")else: print("불합격 입니다") 짝수와 홀수의 합#짝수와 홀수의 합을 구해보자number=int((input("숫자를 ..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각도기

각에서 0도 초과 90도 미만은 예각, 90도는 직각, 90도 초과 180도 미만은 둔각 180도는 평각으로 분류합니다. 각 angl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예각일 때 1, 직각일 때 2, 둔각일 때 3, 평각일 때 4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예각 : 0 직각 : angle = 90 둔각 : 90 평각 : angle = 180 -각 if 구문의 결과로서 print(1) 이런식으로 표현했는데, 이렇게 되면 조건문에 대한 결과 값이 1이 아님-print 는 화면에 보여주기만 하는 것이지 함수의 결과값이 아님def solution(angle): if angle > 0 and angle 90 and angle def solution(angle): if ..

Python 2025.10.16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두 수의 나눗셈

프로그래머스 Python 오답노트 LEVEL 0. 두 수의 나눗셈정수 num1과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1을 num2로 나눈 값에 1,000을 곱한 후 정수 부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# 정수 부분을 가져오라고 했는데 예를 들어 2.5 면 INT(2.5) = 2 이고 ROUNT(2.5) 는 3 이 나오므로 다른 결과를 가져옴def solution(num1,num2): answer=ROUND((num1/num2)*1000)) return answer def solution(num1,num2): answer=int((num1/num2)*1000) return answer

Python 2025.10.16

[아이티윌 빅데이터 52기] Day 8 Python Basic | 함수의 이해 / 코딩 테스트 준비 / 조건문과 반복문

Python Basic 함수의 이해 / 코딩 테스트 준비 /조건문과 반복문 -함수의 이해-함수 정의하기-조건문 -반복문 함수의 이해수학에서의 함수의 정의는 집합 x가 있으면 모든 원소가 집합 y 의 원소에 1개씩 대응될 떄, x에서 y 로의 함수라 함 파이썬에서 함수가 정의되어 있으면 재사용이 가능함수에서 결과값이 나오려면 매개변수가 필요하다 def 함수이름 (매개변수) : [함수에 속한 명령어] return 반환값 def f(x): return 2*x + 1 type() 함수내가 넣은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는 함수bool, str, int,float 등 다양하게 확인 가능 print() 함수print() 함수는 여러개의 값을 전달할 떄 공백으로 구분해서 한번에 출력즉, 띄어쓰기..